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차이점? 정부24에서 10초 이내에 발급받는 방법 정리
부동산 관련 서류 제출 시 빠뜨릴 수 없는 것이 '주민등록등본 1통'이다.
해당 증빙서류의 경우 정부24를 통해 쉽게 발급받을 수 있지만 막상 사이트에 가면 등초본이 함께 나와 있어 다소 혼란스럽다.
등초본과 초본의 차이점을 검색해봐도 답이 정확히 적혀있는 곳이 없으니 직접 발급받아 정리해본다.주민등록초본이란?주민등록초본의 예에서는 먼저 주민등록초본의 경우 '개인'의 주민등록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따라서 상단에 개인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가 생성된다.이후 본문에서는 출생신고를 통한 신규등록이 1번으로 되며 전입신고 이력에 따라 주소변경 이력이 수십년간 쌓인다.
또한 세대주와의 관계도 함께 작성되어 ~~의 자녀 또는 ~~의 배우자 등의 설명이 맨 오른쪽 열에 정리된다.
그래서 내 경우 주민등록초본 마지막 장에는 ~~의 자녀에서 ~~의 배우자로 세대주와의 관계가 변경되어 있더라.( ㅠㅠ )
남성의 경우 병역사항도 함께 기록된다.
따라서 개인의 주민등록상 주소 이력을 확인하려면 주민등록표 초본을 확인해야 한다.주민등록등본이란?
주민등록표 등본 예시 주민등록표 등본의 경우 개인이 아닌 가구에 의해 작성된다.따라서 맨 위에 개인 이름이 아닌 가구주 이름이 기재되고 현 주소와 가구 구성 사유 일자가 그 후에 작성된다.
세대 구성 후 가족관계의 변동이 발생하거나 이사 등으로 인한 전입신고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그 기록사항이 정리된다.
따라서 세대를 기준으로 분양하는 계약 등에서 거주조건 또는 세대주 등의 확인을 위해 주민등록등본을 요구하는 것이다.주민등록등·초본 발급방법 (정부24)
먼저 정부 24개 사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첫 페이지를 자주 찾아보는 서비스에서 '주민등록등본(초본)'을 클릭한다.주민등록등본은 주민센터 등을 방문해서 발급받을 수도 있지만 인터넷으로 발급받으면 무료니까 인터넷으로 발급받자!PDF로 「인쇄한다」를 활용하면, 파일에 보존할 수도 있다.
회원가입을 해도 되고 비회원으로 주민등록번호만 입력해 발급받을 수도 있다.
주민등록등·초본은 영문으로도 발급이 가능하다(참고) 현재 주민등록상 주소를 입력하고 발급형태, 수령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원할 경우 등기우편이나 일반우편으로도 받아볼 수 있다.이후 민원신청 버튼을 누르면 5초 안에 등초본 발급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단, 온라인 발행 시 한 번 '출력'을 누른 후에는 재발행을 할 수 없으며, 다시 처음부터 발급 신청을 해야 한다.
이상 주민등록등, 초본 정리 완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