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염의 원인과 종류, 그리고 치료법

 

전립샘염의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고 치료 방법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전립샘염의 정의를 내리기는 쉽지 않다.

다만 일반적으로 전립샘염이란 전립샘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한다.

그 원인이 세균인 경우를 세균성 전립샘염, 세균이 아닌 것을 비세균성 전립샘염이라고 한다.

급성전립샘염은 고열과 오한, 하부요통, 회음부통, 배뇨, 급박뇨, 빈뇨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세균성 전립샘염의 두 종류, 급성 전립샘염과 만성 전립샘염 세균성 전립샘염 중 갑자기 심한 증상이 생긴 경우를 급성 전립샘염이라고 하며 급성기 후나 3개월 이상 심하지 않은 증상이 계속되는 경우를 만성 전립샘염이라고 한다.

급성전립샘염은 고열과 오한, 하부요통, 회음부통, 급박뇨, 빈뇨와 야간뇨 및 배뇨가 곤란해 소변을 볼 수 없고 근육통 및 관절통 등 전신 증상도 함께 동반된다.

만성세균성전립샘염은 증상이 거의 없거나 소변검사에서 세균뇨만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증상도 매우 다양하지만 주로 급박뇨, 빈뇨, 야간뇨, 배뇨 곤란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한편 비세균성 전립샘염은 전립샘통이나 만성골반통증후군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증상은 만성세균성전립샘염과 비슷하다.

다만 전립샘액 안에서 염증세포는 많이 발견되지만 각종 배양검사에서 원인균이 검출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세균성 전립샘염은 전립샘염 전체의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는 일반 배양검사에서 자라는 세균을 기준으로 한 경우이고 최근 분자유전학적 진단방법 중 하나인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해 전체 전립샘염의 77%가 원인균의 존재를 증명했다는 연구논문도 있어 세균성과 비세균성의 정확한 구별을 내리기 어렵다.

세균 감염으로 인한 전립샘염은 일반적인 세균 배양 검사에서 배양할 수 없는 세포도 많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한다.

전립샘염의 대표적인 4가지 원인인 전립샘염의 원인은 거의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지금까지 전립샘염의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병의 원인균 등 세균 감염에 의한 것이지만 일반적인 세균 배양검사에서 배양되지 않는 세균도 많아 초기 원인균을 밝혀내려는 노력과 함께 효과적이고 집중적인 항생제 치료가 중요하다.

둘째, 자가면역에 의한 원인을 들 수 있는데 우리 몸에 세균 등이 침입하면 자가면역 메커니즘이라는 효과적인 방어 메커니즘이 시작된다. 이때 전립샘세포를 적으로 잘못 알고 스스로 공격하게 되면서 염증이 시작된다는 것이다.

셋째, 전립샘은 주변에 거미줄 같은 정맥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들 혈관의 혈액순환 장애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넷째, 전립샘염 환자의 대부분은 신경이 예민한데 이처럼 긴장된 상태가 계속되면 전립샘 주변 괄약근과 회음부 근육을 조여 회음부 근육에 만성적인 긴장상태가 지속되면서 소변이 전립샘관을 따라 거꾸로 스며들게 되는데 이것이 전립샘염의 원인이라는 의견이 있다.

직장수 검사사는 전립샘을 촉진하고 전립샘염의 진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만성전립샘염의 원인과 검사방법을 취하지만 대부분의 만성전립샘염은 원인이 한 가지뿐 아니라 세균 감염을 비롯한 자가면역, 소변 역류, 정맥순환 장애, 전립샘액의 울혈, 회음부 근육의 이상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서로 악순환을 거친다고 일반적으로 보고 있다.

전립선 마사지는 전립선염의 진단과 치료에 이용된다.

검진용 위생장갑을 착용하고 손가락을 환자의 항문을 통해 직장 내에 삽입해 전립샘을 촉진하는 것을 직장수지 검사라고 하는데 전립선의 크기, 모양, 경도, 이동성, 통증 여부, 표면의 평활도, 온도 등을 파악해 이를 토대로 추가 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검사다.

이 같은 직장수지 검사 중 전립샘을 마사지해 전립샘액을 요도를 통해 받아 감염 소견이 있는지를 검사하는데 현미경으로 염증세포를 관찰해 배양해 세균을 확인한다.

또한 분획뇨검사라는 방광염과 전립샘염을 감별하는 소변검사 방법으로도 쓰이는데 이는 전립샘 마사지 전뇨, 전립샘액, 그리고 마사지 후 소변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전립선액이나 전립선 마사지 직후 받은 소변검사에서 염증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립선염으로 판정된다.

전립선 마사지는 전립선염 치료에도 쓰인다. 특히 세균성이 의심되는 만성 전립샘염의 경우 항생제를 쓰면서 전립샘 마사지를 병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실제로 이 방법은 비뇨기과 의사들이 꽤 오랫동안 사용해 온 방법이다.

급성 세균성 전립샘염은 전립샘 마사지를 피해야 하며 입원 치료가 원칙이다.

전립샘염의 치료 방법과 유의해야 할 사항=일반적으로 세균에 의한 감염의 치료 원칙은 적절한 항생제 선택과 효과적인 배농(고름을 배출하는 것)이지만 전립샘 마사지는 이런 의미에서 배농의 효과가 있다.

전립샘 마사지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해진 것이 없다.

환자 개개인의 증상 등을 고려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그 빈도는 일주일에 약 3회 정도가 적당하다고 한다.

그러나 전립샘 마사지를 절대 해서는 안 될 경우가 있다.

급성 세균성 전립샘염의 경우인데 이는 전립샘 염증이 전신으로 파급돼 고열, 냉증,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 경우 때로 소변을 전혀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요도 안에 카테터를 삽입해야 하며 반드시 배꼽 밑에 구멍을 뚫어 카테터를 방광 속으로 찔러 넣어 소변을 배출시켜야 한다.

만약 급성 세균성 전립샘염의 경우 전립샘 마사지를 하면 전립샘 안에 있는 세균이 혈관 안으로 퍼져 나가는 무서운 세균성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급성 세균성 전립샘염은 입원 치료가 원칙으로 균 배양검사와 항생제 감수성 검사가 나오기 전까지는 광범위한 항생제를 정맥으로 투여하고 급성기가 지난 뒤 약 1주일 후에는 먹는 약으로 투여한다.

또 만성전립샘염으로의 이행을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 34주 이상을 사용해야 하며 이후 최소 4개월 후에는 치유가 완전히 완료됐는지 확인해야 한다.



가톨릭의대 인문사회의학연구소 흥승권 기자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모바일 유튜브 광고 삭제 유튜브 vanced로 할 수 있나?

하는 이유와 방법 다육이 꽃대 자르기

list 스마일라식부작용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