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발급하기!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공공보건포털에서
일상에 유용한 정보를 알려드리는 일본 종이입니다.
식당이나 카페 등에서 아르바이트를 할 때, 또는 식품과 관련된 직장에서 일을 할 때는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를 가지고 오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예전에 아르바이트 할 때 저희 동네 보건소가 없어서 지하철로 몇 정거장 지나서 다른 동네 보건소에 갔는데
검사 후 1주일 정도 지나서 신분증을 가지고 다시 그 곳에 가달라고 했습니다.
오늘은 저처럼 보건소가 집 주변에 없어서 발급받기가 힘드신 분들,
또는몇달전에검사를했는데보건증이또필요한일이생겨서다시발급을받아야하는분들을위해서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https://www.g-health.kr/port al/index.do 공공보건포털 G-health입니다.www.g-health.kr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는 '공공보건포털'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 인증이 필요하므로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또는 휴대전화를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공공보건포털' 메인홈 화면에서 왼쪽 아래에 보시면
건강진단결과서(구.보건증)라는글자가있습니다.
이것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화면이 바뀝니다.발행하기 전에 주의사항을 한번씩 읽어보세요.
그 다음은 아래에 있는 동의와 확인을 클릭합니다.동의 및 확인을 누르시면 본인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그리고 본인 확인을 위한 방법을 하나 선택해주세요.
본인 확인이 끝나면 보건증 신청이 하나 있는 게 보일 거예요.나는 '1건'이라고 적힌 것을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바로 아래에 접수번호가 표시됩니다.여기 접수 번호를 눌러 주세요.
그다음에는 여러분이 용도를 밝혀주셔야 하는데 보통은 제출용으로 많이 씁니다.다 쓰셨으면 '신청하기'를 클릭하세요.
그러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요.여기서 제일 오른쪽에 있는 '발행받기'를 누를게요.'얻기'를 클릭하면 보건증이 'PDF' 파일에서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이 파일에는 암호화 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파일을 열 수 있어요.
PDF 비밀번호는 신청자 본인의 생년월일입니다!
PDF' 파일을 열고 집에 프린트기가 있으면 출력도 가능합니다.
보건증 발급도 그렇고 은행업무나 필요서류도
요즘에는 다 인터넷으로 하니까 정말 편하네요 (웃음)






